[정리]
통신하기 위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불어를 못하는 한국인과 한국어를 못하는 프랑스인이라면
영어로 대화한다는 규칙을 정해서 대화할 수 있다
편지를 배송하기 위해서는
편지를 쓸 때부터 상대방에게 도착할 때까지 지켜야 하는
독립적인 여러 규칙을 거쳐야 한다
주소를 적지 않거나 우표를 붙이지 않은 채로
우체통에 편지를 넣으면 안되는 것처럼.
[본문]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듯이,
네트워크에서도 문제없이 통신하려면
규칙(약속)을 지켜야 한다
예를 들어 일본인과 프랑스인이 대화를 하는데
서로 모국어를 사용한다면 대화가 통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서로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인
영어로 대화한다는 규칙을 정해놓으면
문제없이 대화를 할 수 있다
이런 네트워크의 규칙을 프로토콜 (protocol) 이라고 한다
'잡동사니 > [2022]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유니티 허브 설치(생략)/3D 큐브 오브젝트 생성하기 (0) | 2022.12.13 |
---|---|
[7] OSI 모델과 TCP/IP 모델 (0) | 2022.12.13 |
[백준/C] 1920번 수 찾기 (이진 탐색) (0) | 2022.12.11 |
[백준/C] 5597번 과제 안 내신 분..? (0) | 2022.12.11 |
[백준/C] 10807번 개수 세기 (0) | 202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