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압축 원리? 크기 압축 (여기서 compression은 size reduction)
좋아, "동영상 압축"의 원리가 궁금한 거지? 특히 **파일 크기를 줄이는 압축(compression)**에 초점을 둔 질문이네! 🎥➡️📦
✅ 핵심 요약 먼저!
동영상 압축은 불필요한 데이터를 버리거나 줄여서 저장 용량을 줄이는 기술이야.
주로 영상의 시간적/공간적 중복을 제거하고,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이용해서 압축함.
📦 동영상은 이렇게 구성됨
- 💡 동영상 = **수많은 정지 이미지(프레임)**의 연속
- 보통 초당 30~60장 (fps: frame per second)
- 사운드 트랙 포함
🔍 압축의 두 가지 종류
구분 | 설명 | 예시 |
무손실(Lossless) | 정보 손실 없이 원본 복원 가능 | ZIP, PNG |
손실(Lossy) | 일부 정보 버리고 용량 확 줄임 | MP4, JPG |
🔽 동영상 압축은 대부분 손실 압축이야 (사람 눈은 다 못 알아차리니까!)
🧠 동영상 압축의 핵심 원리 3가지
1. 공간적 압축 (Spatial Compression)
한 프레임 안에서 비슷한 색상/패턴의 픽셀들을 간단한 방식으로 표현
예: 블럭을 나눠서 같은 색은 하나로 표현 → JPEG 방식과 유사
2. 시간적 압축 (Temporal Compression)
프레임 간 변화가 없거나 작으면, 차이만 저장
예:
- 1프레임: 사람 고개 들고 있음
- 2프레임: 고개만 살짝 돌림
👉 배경은 그대로니까 고개 움직인 정보만 저장
3. 지각 기반 압축 (Perceptual Compression)
사람 눈이 못 느끼는 정보는 과감히 버림
- 예: 고주파수 색상 변화, 너무 빠른 움직임 등
📼 GOP 구조 (Group of Pictures)
- 압축된 동영상은 일반적으로 이렇게 구성돼:
- I-frame (Key Frame): 완전한 이미지
- P-frame (Predicted): 이전 프레임과의 차이만 저장
- B-frame (Bidirectional): 앞뒤 프레임 둘 다 참고해서 차이만 저장
I --- P --- B --- B --- P --- B --- B --- I ...
💡 I-frame만 모아보면 영상이 엄청 끊겨! 왜냐면 나머지는 '변화'만 저장돼 있으니까.
🔧 그럼 실제로 압축하면 어떻게 되냐?
- 원본: 1920x1080 해상도, 30fps, 무압축 → 수십 GB
- 압축 후 (H.264, MP4 등): 300~800MB (1시간짜리 영상)
🤯 수십~수백 배까지 줄일 수 있음!
✨ 비유로 쉽게 말하자면
- 원본: 동영상 한 장면을 사진 1000장 찍은 것
- 압축: 처음 한 장은 제대로 찍고,
나머지는 “움직임만 적어놓은 노트”로 대체!
🎥 요즘 동영상 압축 코덱 예시
코덱 | 특징 |
H.264 (AVC) | 널리 쓰이는 표준 압축, 유튜브, 넷플릭스 등 |
H.265 (HEVC) | H.264보다 더 효율적 (4K 시대) |
AV1 | 오픈소스, 차세대 고효율 압축 |
📌 요약
- 🎥 동영상 압축은 "변화만 저장 + 비슷한 건 단순화 + 눈에 안 띄면 버려!"
- 🔁 시간적 + 공간적 + 시각적 중복 제거
- 📼 I / P / B 프레임 구조로 압축
- ⚡ 압축 코덱(H.264 등)을 사용해 수십~수백 배 용량 줄이기 가능
'잡동사니 > GPT가 알려주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T가 알려주는] 리다이렉션 (0) | 2025.04.08 |
---|---|
[GPT가 알려주는] 리눅스 (0) | 2025.04.08 |
[GPT가 알려주는] 커널, 셸, 터미널 (0) | 2025.04.08 |
[GPT가 알려주는] 마이그레이션 (Migration) (0) | 2025.04.08 |
[GPT가 알려주는] Yocto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