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스 휠을 돌려보시면 확대/축소가 됩니다
이렇게 칩을 입력인지 출력인지
gpio 인지 인터럽트인지 클럭핀인지
다 설정할 수 있어요
핀 컴플레이션은 하지만 지금은 그대로 둡시다.
ioc 파일을 저장하는 순간 코드가 다시 만들어집니다.
우리가 한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코드를 생성해주는 겁니다.
여기 미들웨어라고 하는거 눌러보세요.
누르시면 여기에 FreeRTOS가 있습니다.
눌러보시면 이런게 떠요!
CMSIS V1을 선택해주세요
미들웨어라고 하는게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세이브 코드를 생성할까요?
물어보면 yes 를 누릅니다.
미들웨어라고 하는게 자동으로 들어가 버립니다
세이브 코드를 생성할까요?
물어보면 yes 를 누릅니다.
middleware, third-party, PR2S, source 쭉 다 들어갔죠.
코드가 자동으로 들어왔죠.
간단한 테스트 코드까지 만들어주었네요.
Config Parameters를 살펴봅시다.
우선순위가 현재는 7로 되어있네요.
프로젝트OS의 우선순위는 0부터 6까지 쓸 수 있습니다.
0, 1, 2, 3, 4, 5, 6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게 6입니다.
원하면 바꿀 수도 있어요.
이걸 20으로 바꾼다면,
우선순위는 0부터 19까지가 사용 가능한 우선순위가 됩니다.
수정한 후 저장하면 코드가 다시 만들어집니다.
포팅이라고 이야기하기 민망하죠.
5분만에 끝나는 포팅.
너무 쉬운 포팅이죠.
main.c 를 열어보면
간단한 데모 프로그램이 만들어져있습니다.
'[2025~] Embedded > Free R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e RTOS_027] 포팅 - osKernelStart (0) | 2025.03.07 |
---|---|
[Free RTOS_026] 포팅 - 원하는 함수 찾는 법 (0) | 2025.03.07 |
[Free RTOS_024] 포팅 - 프로젝트 셋업과 CMSIS (0) | 2025.03.07 |
[Free RTOS_023] 포팅 - 새 프로젝트 만들기 (0) | 2025.03.07 |
[Free RTOS_022] 포팅 - 시작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