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A에서 컴퓨터 B로

데이터를 보낸다고 생각해봅시다

 

데이터를 보내려면

데이터의 앞부분에

전송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붙여서

다음 계층으로 보내야 합니다

 

이 정보를 헤더라고 하는데

헤더에는 데이터를 전달받을 상대방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캡슐화란?

이처럼 헤더를 붙여나가는 것

캡슐화라고 합니다

 

역캡슐화란?

한편 데이터를 받는쪽에서는 헤더를 하나씩 제거하는데

이를 역캡슐화라고 합니다

 

 

 

세션 계층과 표현 계층은

응용 계층에 포함하여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응(표 세) 전 네 데 물

 

 

그림과 같이

송신 측은 각 계층에 헤더와 트레일러추가하면서 데이터를 전달하고 있고

수신 측은 각 계층의 헤더와 트레일러제거하면서 데이터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즉 송신 측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추가된 헤더와 트레일러를

수신 측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제거합니다.

 

이렇게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여러가지 규칙이 있어서

데이터를 문제없이 전달할 수 있습니다.

'잡동사니 > [2022]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상속과 재사용  (0) 2022.12.17
[9]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0) 2022.12.17
기록충  (0) 2022.12.17
[2.8] 유니티 클라우드 버튼  (0) 2022.12.17
[2.7] 씬 플레이 버튼  (0) 2022.12.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