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DMZ는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다

외부에 공개하는 서버에는 주로 웹 서버, DNS 서버, 메일 서버가 있다

회사의 서버온프레미스 클라우드로 운영되고 있다

각 서버나 컴퓨터는 스위치무선 랜 기능을 사용하여 사내 랜에 접속한다

 

 

 

소규모 회사(소호 기업)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가정에서의 랜 구성과 눈에 띄게 다른 점은

DMZ 라는 네트워크 영역이 있다

 

소호 기업이란?

SOHO (Small Office / Home Office)의 약어이며

소규모 회사를 뜻한다

 

DMZ란?

DeMilitarized Zone의 약어로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다.

 

외부에 무엇을 공개하는가?

서버를 공개하는데

주로 웹 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를 공개한다.

 

웹 사이트를 불특정 다수의 외부 사용자에게 공개하려면

웹 서버를 외부에 공개하고

 

외부 사용자와 메일을 주고 받으려면

메일 서버를 외부에 공개하고

 

외부에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회사의 서버에 접속하려면

DNS 서버를 외부에 공개한다

 

 

회사에서 구성하는 랜에는 다양한 서버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가정의 네트워크에서는 서버를 외부에 공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개하지 않는다

직원수가 많을 수록 스위치와 같은 장비가 늘고 랜 케이블의 배선이 늘어난다

 

회사에서는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

서버를 사내에 설치하거나

서버를 데이터센터에 두거나

서버를 클라우드에 둘 수 있다

 

데이터 센터란?

대량의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데이터 센터 서버네트워크 기기를 설치한 전용시설

 

클라우드란?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한다면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다

 

 

사내에서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회사 내에 서버 장비실을 두고 

그 곳에 랙 (선반)을 설치한다

랙 안에 서버를 두고 관리한다

 

온프레미스란?

on-premise, 사내 또는 데이터 센터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것

클라우드와 비교할 때 자주 사용하는 용어이다

 

랙 안에는 랙에 설치하기 적합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

서버라우터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는데

라우터는 무선 랜 기능이 있는 라우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각 서버는 스위치와 연결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사무실 안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와 프린터도

근처에 있는 스위치에 연결하거나

무선 랜 기능을 통해 랜에 연결해야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