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동사니/[2022] 회로이론

[11]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heylo 2022. 12. 18. 19:25

물리 계층네트워크 장비에는

리피터허브가 있습니다


리피터 (repeater)란?

예전에 사용하던 장비입니다.

리피터는 아래 그림과 같이

전기 신호를 정형(일그러진 전기 신호를 복원)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가진 네트워크 중계 장비입니다.

멀리 있는 상대방과도 통신할 수 있도록

파형을 정상으로 만드는 기능을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리피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최근에는 보기 힘들고 앞으로도 사용할 일은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허브(Hub) 란?

허브는 아래 그림과 같이

포트 (실제로 통신하는 통로)를 여러 개 가지고 있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부릅니다.

 

리피터일대일 통신만 가능하지만

허브는 포트를 여러 개 가지고 있어서

컴퓨터 여러 대와도 통신할 수 있습니다.

허브에는 포트가 여러 개 있어서

랜 케이블을 사용하여

컴퓨터 여러 대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허브는 리피터와 마찬가지로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합니다. 

 

 

컴퓨터에서 보낸 전기 신호가 허브에 도착하는 동안

노이즈의 영향으로 파형이 변형될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허브가 파형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기능을 합니다.

 

허브는 컴퓨터 여러 대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유용한 장비입니다.

허브는 어떤 특정 포트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면

해당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로도

받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컴퓨터 1에서 컴퓨터 3로 데이터를 전송하면컴퓨터 2만 데이터를 받는 것이 맞지만실제로 허브를 사용하면컴퓨터 3, 컴퓨터 4, 컴퓨터 5에도 데이터가 전송됩니다.

 

하지만 컴퓨터 3, 4, 5에는 불필요한 데이터니까네트워크에 전송되지 않는 게 더 좋습니다.

 

이처럼 허브는 스스로 판단하지 않고

전기신호를 모든 포트로 보내서

더미 허브 (dummy hub) 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불필요한 데이터가 전송되어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는데이에 대한 대책으로 나온 것이 스위치 (switch) 라고 하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auto MDIX(auto Medium-Dependent Interface crossover)는

다이렉트 케이블과 크로스 케이블을 자동으로 판단하는 기능입니다.

 

컴퓨터라우터의 인터페이스는 MDI (Media Dependent Interface)라고 하고,

스위치허브의 인터페이스는 MDI-X(Media Dependent Interface crossover)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MDI와 MDI-X를 연결할 때는 다이렉트 케이블을 사용하고,

MDI 끼리MDI-X끼리 연결할 때는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케이블 배선 실수로 인한 통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DI와 MDI-X 차이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연결 신호를 전환하는 기능을 가진

스위치나 허브를 많이 사용합니다.

 

따라서 컴퓨터와 허브를 연결하거나

허브 간을 연결한다면

케이블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