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 😎
Netlify에 웹사이트 배포하고, 도메인 연결하는 전체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해줄게.
정말 간단하면서도 실무에서도 자주 쓰이는 방법이야.

 

✅ 1단계: Netlify 계정 만들기 / 로그인


✅ 2단계: 웹사이트 배포 (HTML/CSS/JS)

방법 ①: GitHub 연동 (추천)

  1. GitHub에 프로젝트 푸시
  2. Netlify → Add new site → Import from Git
  3. GitHub 계정 연동
  4. 원하는 repo 선택
  5. 빌드 설정: 정적 페이지는 아래처럼 설정
    Build Command: (비워도 됨)
    Publish directory: ./ (혹은 dist, public 등)
  6. 배포 완료! → 주소 예시: https://myproject.netlify.app

 

 

방법 ②: 로컬 폴더 직접 업로드

  1. Netlify 메인화면 → Add new site → Deploy manually
  2. index.html이 포함된 폴더를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업로드
  3. 몇 초 후 자동 배포 → 주소 예시: https://fancy-tulip-1234.netlify.app

 

 

✅ 3단계: 도메인 연결하기

▶ 1) Netlify에서 Custom Domain 설정

  1. 배포한 사이트의 Site Settings > Domain Settings로 이동
  2. Add custom domain 클릭
  3. 구입한 도메인 입력 → www.example.com
  4. Verify → 다음 단계로 진행

 

 

▶ 2) 도메인 등록기관(DNS 설정하는 곳)에서 설정

예: 가비아, 후이즈, Google Domains, Namecheap 등

DNS 설정에서 아래처럼 CNAME 또는 A 레코드 추가:

✅ 방법 A: CNAME 방식 (가장 일반적)

타입 호스트
CNAME www your-site-name.netlify.app

예: fancy-tulip-1234.netlify.app

📌 참고: root 도메인 (example.com)은 별도 ALIAS or A 레코드 필요함

 

 

✅ 방법 B: A 레코드 (루트 도메인 연결용)


타입 호스트
A @ 75.2.60.5
A @ 99.83.190.102

Netlify의 루트 도메인용 공식 IP (변경될 수 있으니 공식 가이드 참고)

 

 

▶ 3) Netlify에서 HTTPS 적용 (자동)

  • DNS 연결이 되면 Netlify가 자동으로 SSL 인증서(HTTPS) 적용해줌 (Let's Encrypt)

 

 

🧪 예시 폴더 구조

이걸 드래그해서 올리거나, GitHub에 올려서 연동하면 OK!


🎯 정리: Netlify + 도메인 연결


단계 설명
1 Netlify 가입 후 사이트 배포
2 도메인 연결 설정 (Netlify에서 Custom Domain 추가)
3 도메인 구매처에서 DNS 레코드(CNAME or A) 설정
4 자동으로 HTTPS까지 적용!

+ Recent posts